수납 노하우

복층 원룸 수납 활용기: 계단, 틈새 공간 200% 활용 노하우

sonsc-3702 2025. 7. 5. 15:00

복층 원룸, 수납 공간은 많은데 정리가 안 되는 이유

복층 원룸은 평면적으로 보면 작지만, 천장이 높고 위아래로 나뉘어 있어 체감 면적은 넓다. 하지만 그만큼 수납을 효율적으로 하지 않으면 짐이 위층과 아래층을 오가며 혼란이 생기고, 오히려 공간이 낭비된다.
특히 계단 아래 공간, 복층 위 천장 근처 틈새, 복층 난간 주변 등은 애매하게 비워두기 쉬운 구역이다. 필자는 실제 복층 원룸에서 1년간 거주하면서, 이런 틈새 공간을 ‘어떻게든 수납으로 바꾸는’ 실전 전략을 적용했다.
복층 구조의 핵심은 “보이지 않는 공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있다. 시선에서 벗어난 부분이 곧 수납의 핵심이다.

복층 수납 활용: 틈새 공간활용


계단 아래 공간은 ‘맞춤형 수납 구역’으로 바꿔라

복층 계단 밑은 가장 큰 틈새 공간이지만, 제대로 활용하지 않으면 그냥 비어 있는 공간이 된다. 필자는 계단 높이에 맞는 메탈 선반 2단 구조를 설치하고, 아래에는 투명 수납 박스를 넣어 계절용품, 전선류, 청소도구를 정리했다.
또한 계단 한쪽에는 압축봉을 설치해 ‘미니 옷장’처럼 코트를 걸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했다. 이 부분은 특히 겨울철에 외투를 잠깐 걸어두는 용도로 유용했다.
계단 아래는 가구를 억지로 넣기보단, 모듈형 수납함이나 이동식 트롤리처럼 ‘공간에 맞게 조정 가능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간 자체가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평범한 서랍장이나 수납장은 잘 맞지 않는다.


복층 위 공간은 ‘수납박스+라벨링’이 핵심이다

복층 위층은 침실로 주로 사용되지만, 침대 외 공간이 애매하게 남는 경우가 많다. 이때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투명 수납박스 + 분류 라벨링 시스템이다.
필자는 복층 위 한쪽 벽면에 낮은 2단 박스를 가로로 길게 배치하고, 계절 옷, 이불, 문서류, 안 쓰는 전자기기 등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해 정리했다. 박스에는 큰 라벨을 붙여서 한눈에 식별되도록 했고, 물건이 바뀌면 라벨만 교체했다.
복층 위 공간은 천장이 낮기 때문에 가구를 세울 수는 없지만, 가로 방향으로 넓게 퍼지는 구조가 가능하므로 ‘수납 밀도’는 오히려 더 높다. 단, 환기가 잘 되지 않으므로 습기 제거제, 제습기 등도 함께 배치하는 것이 좋다.


복층의 ‘죽은 공간’을 살리는 생활 밀착형 수납 팁

복층 원룸은 특성상 구석구석 애매한 여백이 많다. 예를 들어 복층 위 난간 옆 좁은 틈, 창문 아래 낮은 코너, 복층 입구 바로 옆 여백 등은 자칫 방치되기 쉽다.
필자는 복층 위 난간 옆에 벽걸이형 수납함을 설치해 안경, 리모컨, 책 등을 보관했고, 창문 아래에는 접이식 협탁을 두어 조명 + 수납 공간을 동시에 확보했다.
복층 입구 옆에는 간이 신발장 + 우산 보관대를 세로형으로 배치해 생활 동선을 정리했다. 이런 작은 변화만으로도, 복층 구조 전체가 더 정돈되고, 동선이 간결해지며, 수납 스트레스가 줄어든다.
중요한 건 ‘넓은 곳을 채우는 게 아니라, 작은 공간을 비우지 않고 쓰는 것’이 복층 수납의 핵심 전략이라는 점이다.


결론: 복층은 '넓게 보이게'가 아니라 '넓게 쓰이게'  수납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복층 원룸은 보기엔 넓지만 실제 사용 면적은 계획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계단 아래, 복층 위, 구석 틈새 등은 애초에 수납을 고려하고 설계하지 않으면 낭비되는 공간이 된다.
하지만 오늘 소개한 전략처럼 수납을 위해 공간을 분석하고, 가구가 아닌 시스템으로 정리한다면, 복층은 단순한 구조가 아니라 효율적인 생활 공간으로 바뀔 수 있다.
복층의 장점은 ‘분리된 구조’가 아니라, ‘수직 공간까지 내가 주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집’이라는 점이다. 그 구조를 내 것으로 만드는 방법은 결국 수납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