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납 노하우

캣타워·반려동물 하우스 하단 공간을 활용한 수납 노하우

혼자 사는 자취방이라도 반려동물과 함께 지낸다면 그 공간은 더 이상 ‘1인 공간’이 아닙니다.
반려묘나 반려견을 위한 하우스, 캣타워, 방석, 사료통, 장난감 등 다양한 아이템이 추가되면서
사람의 생활 공간과 동물의 생활 공간이 겹쳐지기 시작합니다.
특히 공간이 좁은 원룸이나 오피스텔의 경우, 반려동물 용품이 정리되지 않으면 집이 금세 어수선해지고 정돈감이 사라지기 쉽습니다.
그런데 잘 살펴보면 캣타워 하단, 반려동물 하우스 옆, 이동장 아래 등 ‘데드스페이스’로 남은 공간이 많습니다.
이 공간들을 단순히 비워두는 대신, 반려동물의 행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수납공간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면
집 안의 질서와 효율성을 모두 챙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캣타워와 반려동물 하우스 하단 공간을 실용적인 수납공간으로 바꾸는 구체적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자취 공간에서 사람과 동물이 함께 쾌적하게 사는 진짜 수납 노하우를 지금 확인해보세요.

캣타워·반려동물 하단 공간 수납 노하우


1. 캣타워 하단, 비워둘 필요 없는 활용 가능한 공간

일반적으로 캣타워는 고양이가 위로 올라가 쉬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하단은 구조상 빈 공간으로 남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1단형 캣타워, 계단형 타워, 이동형 가벼운 캣타워의 하단사람 눈높이 아래라 무시되기 쉽지만, 실제로는 충분한 수납 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① 사료, 간식, 장난감 정리함
캣타워 하단에 뚜껑 있는 수납 박스 또는 지퍼형 정리함을 넣어 고양이의 사료, 간식, 캣닢 장난감 등을 보관하면
필요할 때 바로 꺼내 쓸 수 있고, 외관상도 깔끔해집니다.
단, 고양이의 발톱에 긁히지 않도록 내구성이 좋은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장난감은 향이 나는 종류일수록 밀폐형 박스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

② 휴지, 청소도구 등 고양이 케어 용품
고양이 전용 청소기, 털 제거 브러시, 롤 테이프, 화장지 등은
자주 쓰지만 자리에 놓아두기 어려운 아이템들입니다.
이런 물품은 서랍형 슬림 캐비닛이나 손잡이 달린 라탄 바구니에 넣어 캣타워 하단에 밀어넣듯 배치하면
시선을 피하면서도 언제든 꺼내 쓰기 편한 구조가 됩니다.

③ 여분의 모래, 패드 보관 공간
캣타워가 넓은 형태라면 하단에 고양이 화장실 용품(모래, 패드, 탈취제) 등을 넣을 수 있습니다.
단, 위생상 분리 포장된 제품만 보관하고, 가능하면 플라스틱 박스나 뚜껑 있는 용기를 사용해
먼지나 냄새가 위로 올라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반려동물 하우스 주변, 무해한 수납 구조 만드는 법

반려동물 하우스는 강아지나 고양이에게 안정감을 주는 개인 공간입니다.
그런만큼 수납 구조를 설계할 때는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도록 ‘비접촉형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단순히 물건을 쌓는 것이 아니라, 하우스를 감싸듯 수납하거나 시각적으로 통일감을 주는 방식이 효율적입니다.

① 측면 수납형 선반 배치
반려동물 하우스 옆 벽면에는 1단 선반이나 벽걸이 수납함을 부착
위생용품, 배변패드, 빗, 리드줄 등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 선반은 반려동물이 머리나 다리를 부딪히지 않는 높이에 설치해야 하며,
입구와 반대 방향에 설치하면 시각적 압박도 줄어듭니다.

② 하단 틈새 공간 활용
패브릭 하우스나 소프트형 방석 하우스의 경우 하단이 비어 있다면
플라스틱 서랍형 박스를 넣어 쓰레기봉투, 여분의 패드, 반려동물 수건 등을 보관하는 것도 좋습니다.
단, 출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양옆이나 뒤쪽에 배치하는 것이 안전하며,
소음이 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해야 반려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습니다.

③ 커튼형 가림막 활용
수납 구조가 노출돼 미관을 해치는 경우에는
가구형 하우스 전체에 커튼을 달아 가려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수납박스가 바깥에서 보이지 않고,
공간이 ‘하우스+수납’의 통합된 형태로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3. 유지력을 높이는 반려동물 수납 시스템 실천 팁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수납은 단순한 정리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위생, 접근성, 안전성, 그리고 유지 관리의 용이성까지 모두 고려해야 제대로 작동하는 시스템이 됩니다.
다음은 수납 구조를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한 실천 전략입니다.

① 카테고리별로 용도 구분
‘청소용품’, ‘간식’, ‘외출용품’, ‘의료용품’ 등으로 분류해서
각기 다른 박스나 파우치에 나누어 담고, 외부에 간단한 라벨을 부착하면
필요할 때 빠르게 꺼내 쓸 수 있으며, 섞이지 않아 위생적으로도 유리합니다.

② 주 1회 점검 루틴 설정
사료나 모래는 유통기한이 있고, 간식은 쉽게 눅눅해지기 때문에
1주일에 한 번 수납박스를 열어 체크하는 루틴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때 불필요한 물품을 정리하고, 누락된 용품을 메모하는 것도 추천됩니다.

③ 반려동물 행동 패턴 반영
고양이의 경우 ‘갑자기 점프해서 박스를 쓰러뜨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고,
강아지는 코로 뒤적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납 구조 자체가 흔들림 없이 고정돼 있어야 하며,
냄새가 나는 물품은 반드시 밀폐형 박스에 넣어야 합니다.

④ 시각적 통일감 유지
수납박스나 선반의 색상을 반려동물 하우스 톤에 맞춰 통일시키면
전체 인테리어가 정돈되어 보이며, 쓰레기통 같은 느낌도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아이보리 패브릭 하우스에는 아이보리 계열 수납함을,
우드 톤 가구에는 내추럴 색상 박스를 활용하면 미관적으로도 좋습니다.


✅ 마무리 요약

  • 캣타워와 반려동물 하우스 하단은 자취방의 숨은 수납 명당으로 활용 가능
  • 사료, 장난감, 청소도구, 패드 등 용품을 기능별로 분류해 하단 또는 측면 수납 구조 설계 필요
  •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소음·접촉·위생 요소를 고려한 수납 방식이 중요
  • 라벨링, 주간 점검 루틴, 색상 통일 등으로 수납 시스템을 장기적으로 유지 가능